728x90
반응형
정신 의학 세계에서 말하는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는 어떻게 다른 걸까?
흉기를 들고 무표정한 표정으로 무고한 사람들을 잔인하게 살인하는 연쇄살인마의 모습은 어쩐지 사이코패스에 좀 더 어울린다. 그에 반해 소시오패스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정장을 입고 큰 사업체에서 근무하지만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공감하지 못하며 아무렇지 않게 이기적이고 끔찍한 꿍꿍이를 꾸미는 사람.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는 대동소이하다.
사이코패스는 한국말로 정신병 질자라고 부른다. 사이코패스가 유명해지기 시작한 것은 1941년 Hervey Cleckley라는 사람이 건강이라는 이름의 가면(The Mask of Sanity)이라는 저서를 통해 기술하면서부터라고 알려져 있다.
겉으로는 정신병으로 보이지 않지만 행동이 혼란하고 현실과 사회의 요구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 그중에서도 겉으로는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 전혀 책임감이 없고 타인의 감정이나 관심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 사람들의 양심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 뒤로 정신병 질자라는 용어가 수십 년간 사용되어 왔고 사회병 질자라는 용어는 그러한 환자들의 어려움이 사실은 정신적인 것에 있지 않고 사회적인 원인, 사회적인 관계에 있다는 생각을 반영하면서 더러 사용되어 왔다. 즉 정신병질과 사회병 질은 진단명의 방향성이 다를 뿐 같은 집단의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정신병질적이거나 사회병 질적인 부류의 사람들은 대부분 냉담하고 무책임하고 폭력적이거나 파괴적인 행동을 일삼고 반사회적인 행동을 한다. 이러한 환자들을 DSM에서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라고 아우르는 범위가 기존의 정신병질 자라는 진단 범주와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다.
DMS에서 이야기하는 반사회적 인격장애는 반사회적 행동 객관적인 행동 양심에 초점을 맞춰서 보고 있지만 정신병 질 자에 대한 기술은 생활 형태나 내적인 감정 상태 습관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김종기]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