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근로자 A 씨는 주택전세자금 대출을 받아 아파트에 거주해 왔다. A 씨가 대출원금과 이자로 매월 갚는 돈은 100만 원, A 씨는 이 돈이 연말정산 대상인지 몰라 소득공제를 받지 받지 않았다◇
연말이 되면 직장인들의 13월 월급이라는 연말정산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그러나 직장인들이 정작 자신들이 지출하는 비용 중 소득공제 대상이 되는 항목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특히, 공제대상에서 누락된 것이 없는지 더 꼼꼼히 챙겨야 하는 이유다. 즉 A 씨의 경우 전체자금 대출금과 이자 소득공제를 놓쳤다. 국세청에 따르면 근로소득이 있는 거주자로서 과세기간 종료일 12월 31일 현재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는 공제 대상이다.
세대주가 주택임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장기주택임차차입금 이자상환액 및 주택청약종합저축 공제를 받지 않을 경우에는 근로소득이 있는 세대원이나 외국인도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들은 주택법에 따른 국민주택규모 전용면적 85㎡ 이하의 주택에 거주할 경우 관련 비용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다만 해당 주택이 다가구주택이면 가구당 전용면적 기준이 된다.
국민주택규모의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포함)을 임차하기 위해 주택임차자금(전세자금)을 차입하고 원리금을 상환한 경우 상환금액의 40%를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하게 된다.
A 씨의 경우 매달 100만 원을 냈기에 한해 연간 원리금 상환금은 1200만 원이다. 1200만 원의 40%를 계산하면 480만 원이 나온다. 그러나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 한도금액이 400만 원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연말정산 시 절감하는 세액은(평균 실효세율 7% 가정) 28만 원가량이 된다.
연말정산 시 직장인들이 잘 놓치는 또 다른 부분은 주택마련저축에 대한 소득공제다. 일례로 무주택 세대주인 근로자 B 씨는 2022년 전세자금을 대출받아 대출금과 이자로 매일 60만 원씩 갚으면서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를 받았다.
2024년 1월 한 은행의 주택청약종합저축에 가입하고 매월 25만 원씩 납입하면서도 기존 차입금의 원리금 상환액과 함께 400만 원까지 중복공제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몰라 소득공제를 받지 않았다.
국세청에 따르면 총 급여액 7000만 원 이하인 근로자(2024년 기준)로 과세연도 중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세대의 세대주(12월 31일 기준)가 주택마련저축에 가입해 일정 금액을 납입(본인 명의에 한함)한 저축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B 씨는 60만 원을 내고 있었으니 연 720만 원의 40%인 288만 원이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 금액이다. 또 주택마련저축에 월 25만 원씩 내고 있었으니 연 300만 원의 40%인 120만 원이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금액이다.
B 씨의 주택임차차입금 원리금 상환액 소득공제금액인 288만 원과 주택마련저축 소득공제 금액 120만 원을 합치면 총 408만 원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법에서 정하는 한도가 400만 원인만큼 400만 원 평균 실효세율 7% 가정에 대한 연말정산 절감세액 예상액은 28만 원이 된다.
728x90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cause of me] 석유화학 "신용등급 줄강등"... 위기감 최고조, 부진 지속, 낮은 이익 성장 (2) | 2024.12.13 |
---|---|
[수입차 브랜드] "드디어 나왔다" 7년 만의 신모델 "BMW 뉴 X3"... 4세대 완전변경 (0) | 2024.12.01 |
[산유국 꿈] 동해 심해가스전 "대왕고래" 8광구 및 6-1광구 북부 시추위치로 최종 선정 (0) | 2024.11.27 |
[원유시장] 우크라이나 "ATACMS & 스톰섀도" 발사, 러시아 "ICBM" 대응 소식에 국제유가 2% 급등 (0) | 2024.11.22 |
[똑똑하게 땅을 사는 법] 피 같은 내 돈, 남에게 맡기지 말라... 모든 현지인은 나의정보원이다 (2) | 2024.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