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화재청은 국립 고궁박물관은 왕조실록, 의궤 박물관과 함께 9월 19일부터 23일까지 국회의원회관 제2로비에서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 사고에 과거 보관되어 있었던 조선왕조실록과 의궤를 소개하는 오대산에 피어난 기록의 꽃 실록과 의궤를 전시 개최한다.
조선시대 기록물의 정수인 조선왕조실록과 조선왕조 의궤는 발간하고 나면 사고에 보관, 관리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임진왜란을 거치며 조선 전기 중 전주 사고만 남고 모두 소실되자 1606년. 선조 39년에 오대산, 묘 항산. 태백산 등 접근이 어려운 곳에 새롭게 외사 고를 건립해 보관한 바 있다.
오대산 사고의 실록과 의궤는 일제강점기 일본에 불법 반출되면서 수난을 겪기도 했지만 민간과 정부가 반환을 위해 오랫동안 노력한 끝에 마침내 국내로 들여온 소중한 기록유산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 오대산 사고본은 국보, 조선왕조 의궤 오대 산사 고본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현존하는 유일한 교정쇄 본으로 실록 출판 과정을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며, 오대산 사고의 조선왕조 의궤는 왕이 보는 어람용과 별도로 국가 중요기록물의 안전한 보존을 위해 관련 기관과 여러 사고에 나누어 보관했던 분상용 의궤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전시는 이러한 오대 산사 고본의 역사적 가치와 수난의 과정, 그리고 현재의 모습까지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전시는 오대 산사 고분 실록과 의궤 총 11점 영인본을 중심으로 영상과 설명판 등으로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관람을 참석하려면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여권 등 신분증을 가지고 전시기간 중에 국회의원회관을 방문하면 누구나 관람이 가능하다.
참조
#. 사고:고려 말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실록 따위 역사에 관한 기록이나 중요한 서적을 보관하던 정부의 서고. 실록:사실을 있는 그대로 적은 기록. 의궤:나라에서 큰일을 치를 때 후세에 참고하기 위하여 그 일의 전말, 경과, 경비 따위를 자세하게 기록한 책. 교정쇄 본:최종적으로 발간되기 이전에 교정을 봤던 흔적이 남은 판본.
728x90
반응형
'과학. 유물.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꿈의 에너지 인공 태양" 핵융합 발전 실현에 필요한 첫 관문. (1) | 2022.12.14 |
---|---|
[문화재청] 조선 왕실 사도 세자의 누이, "화협옹주도자에디션" 전통 화장품 공개. (0) | 2022.12.09 |
[문화재청] 70년 전 고흥 앞바다에서 실종된 옹기 운반선 발견. (1) | 2022.11.25 |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1) | 2022.10.13 |
대한민국 과학 유물 앙부일구[仰釜日晷]. (1) | 2022.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