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합동참모본부8

[합동참모본부] 北, 1월 25일 오후 4시 순항미사일 여러 발... 트럼프 제안을 중거리 미사일로 답한 김정은 북한이 1월 25일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수 발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26일 합동참모본부(합참)에 따르면 군은 전날 오후 4시쯤 북한이 내륙에서 서해상으로 순항미사일 수 발을 발사한 것을 추적/감시했다.합참은 북한의 순항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 인지하여 대비하고 있었으며, 세부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 분석 중이라며, 우리 군은 현 안보 상황에서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 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북한은 전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해상대지상 전략 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은 해당 미사일이 약 2시간 5분쯤  150.. 2025. 1. 26.
[합동참모본부] 중-러 군용기 11대 "방공식별구역" 무단 진입... 軍 "전투기 대응 출격"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29일 오전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무단으로 진입한 후 이탈했다.합동참모본부는 오전 9시 35분부터 오후 1시 53분까지 중국 군용기 5대와 러시아 군용기 6대가 동해와 남해 KADIZ에 순차적으로 진입한 후 이탈했다며, 영공침범은 없었다고 전했다.우리 군은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KADIZ에 진입하기 이전부터 식별했고, 공군 전투기를 투입해 우발 상황을 대비한 전술 조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국 국방부도 위챗을 통해 중-러시아가 연간 협력 계획에 기초해 동해 관련 공역에서 9차 연합 공중 전략 순찰을 실시했다고 전했다.방공식별구역은 자국 영공으로 접근하는 군용기를 조기에 식별하기 위한 임의의 선으로 국제법적 구속령은 없다. 이에 영공과 달리 침범이 아닌 진입이.. 2024. 11. 29.
[합동참모본부] 北 "대륙간탄도미사일" 역대 최장 86분 비행... 합참 12축 신형이동식 발사대 이용해 발사 가능성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추정되는 탄도미사일 1발을 동해상으로 고각 발사했다.31일 합동참모본부는 이 미사일이 신형  고체추진 장거리 탄도미사일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7시 10분쯤 북한이 평양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한 장거리탄도미사일 1발을 포착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고각으로 발사돼 약 1000km 비행 후 동해상에 탄착 했다고 말했다.이에 현재까지 초기 판단한 것으로는 신형 고체추진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최근에 북한이 지난달 조선중앙통신 사진을 통해 공개했던 12축짜리 신형 이동식 발사대에서 발사했을 가능성이 있어서 추가로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이성준 공보실장은 북한이 최대 사거리를 내며 .. 2024. 10. 31.
[합동참모본부] 軍, 北 오물풍선 살포에 확성기 10시간 방송으로 맞대응 우리 군이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응하기 위해 전방 지역에서 대북 확성기 방송을 가동했다.19일 오전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은 북한의 지속적인 오물풍선 살포에 대해 여러 차례 엄중 경고한 바와 같이 18일 저녁부터 이날 새벽까지 오물풍선을 부양한 지역에 대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군 당국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가동한 것은 지난달 9일 이후 39일 만으로, 9.19 남북 군사합의로 2018년 이후 중단했던 대북 확성기 방송을 처음 재개한 뒤 두 번째다.북한이 전날 오후 5시쯤부터 이날 새벽까지 오물풍선을 다시 띄워 보내자 군은 오후 6시쯤부터 이날 오전 4~5시까지 오물풍선을 부양한 지역에 대해 10시간 정도 확성기 방송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9일 확성기 방송을 처음 재개했을 때는.. 2024. 7. 1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