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충북 괴산군이 쓸모없이 십수 년째 방치되는 초대형 가마솥 활용을 놓고 고민에 빠진 가운데, 전 국민을 대상으로 괴산 가마솥 관광자원회 활용방안 찾기 아이디어 공모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12일 충북 괴산군은 괴산읍 고추유통센터 광장에 있는 이 가마솥은 지름 5.68m, 높이 2.2m, 둘레 17.8m, 두께 5cm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며 주철만 43.5t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초대형 가마솥은 2003년 당시 김문배 군수가 군민 화합을 도모하자는 취지로 성금 등 5억 원을 모아 제작에 들어갔다. 군 예산 2억 7000만 원에 군민들이 낸 성금 2억 3000만 원이 더해졌다. 일부 주민은 집 안에 있던 고철을 내놓기도 했다.
괴산군은 당시 군 전체 주민 4만 명분 밥을 지을 수 있다며 대대적인 홍보를 했다. 또 기네스북에 등제도 추진했으나, 호주에 있는 질그릇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돼 등재는 무산됐다고 한다.
애물단지된 5억짜리 괴산 초대형 가마솥
워낙 크기가 커 몇 차례 실패 끝에 2년의 제작기간을 거쳐 2005년에야 위용을 드려냈다. 그런데 가마솥을 활용하려고 보니 번번이 제동이 걸렸다. 군민 화합 차원에서 밥 짓기. 옥수수 삶기, 팥죽 끓이기 등 이벤트에도 사용해 봤지만 조리가 잘되지 않았다.
가마솥 바닥이 두껍다 보니 위아래 온도 차가 너무 컸기 때문이다. 이에 밥을 하면 가마솥 아래는 모두 타고, 위는 설익는 3층밥이 됐다. 결국 2007년부터는 이런 이벤트 마저 중단됐다. 이에 군은 녹이 스는 것을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름칠하는 등 유지 관리만 하는 실정이다.
지금은 거대한 솥을 보기 위해 멀리서 찾아오던 이들의 발길마저 끊기면서, 지방자치단체의 대표적인 예산낭비 사례로 지목되는 불명예까지 안았다. 충북도는 공모를 통해 실제 적용 가능한 제안이 나오면 괴산군과 함께 사업을 구체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방치된 농촌의 관광, 문화 자원을 활용해 보자는 차원의 도-시-군 연계 사업의 하나라면서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아이디어 접수는 오는 8월 23일까지 이메일 cream300g@korea.kr 또는 도청 법무혁신담당관 043-220-2325로 방문, 우편을 통해 하면 된다. 심사를 거쳐 입산작에는 최우수 1명 100만 원. 우수 2명 각 70만 원. 장려 3명 각 30만 원의 상금을 준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