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서 21일 독극물이 담긴 것으로 의심되는 대만발 국제 우편이 무작위로 유포돼 정부가 대응에 나셨다.
경찰은 문제의 우편물을 받으면 개봉하지 말고 신고할 것을 당부했고, 서울시 또한 우편물을 열어보지 말라는 안전 안내 문자를 보냈다.
경찰과 소방청 등에 따르면 이날 전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독극물 의심 소포가 발견됐다. 서울, 대전, 경기 등에서 수상한 소포가 나왔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서울 명동의 중앙우체국에서는 이날 의심 우편물이 접수돼 건물이 전면 통제되고 1700여 명이 대피하기도 했다.
경찰이 확인한 결과 소포 내용물은 냄새가 없는 흰색 반죽 형태 물질이었다. 이 우편물에 담긴 물질은 폭발물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지만, 경찰은 이 물질이 마약일 가능성을 추가 조사하고 있다.
경찰에 따르면 문제가 된 국제 소포는 대만에서 발신됐다. 내용물은 CHUNGHWA POST라는 글씨가 적힌 노란색이나 검은색 우편봉투에 담긴 상태였다. 발신인란은 비어 있으며 대만의 타이베이에서 발신된 것으로 되어 있다.
경찰청은 이날 20일 울산에서 해외 배송된 노란색 우편물을 개봉한 사람이 어지럼증 등을 호소 한 사건 이후 전국에서 해외 우편물 배송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며, 이와 유사한 우편물을 수취하신 분은 우편물을 개봉하지 말고, 즉시 가까운 경찰관서 112로 신고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했다.
처음 발견된 곳은 울산 장애인 복지 시설
우편물은 지난 20일 오후 울산의 한 장애인 복지 시설에서 처음 발견됐다. 국제 우편물을 연 원장과 직원 등 3명이 호흡곤란 증상을 보여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들은 격리 병상에 입원했고 현재 증세가 호전돼 건강에 이상이 없는 상태다.
또 제주에서도 20일 A 씨가 수상한 소포를 받았다고 신고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A 씨는 지난 11일 오전 자신의 집 우편함에서 이 소포를 발견한 뒤 뜯어 내용물을 확인한 뒤 사용하지 않고 쓰레기통에 버렸다고 했다. 투명 지퍼백에 화장품으로 추정되는 튜브형 용기 2개가 담겨 있었다고 한다.
또한 울산 소포 관련 보도를 접하고 자신이 받은 문제의 소포를 꺼내 인근 지구대에 방문해 신고했고, 발견된 소포에 대해 경찰은 폭발물 검사, 방사능 검사, 화학 물질 검사, 생화학 검사 등을 진행했으며, 이 검사에서는 모두 음성, 불검출 등 결과가 나왔다. 군 생물테러대응팀도 정밀 분석을 진행 중이다.
소포에서 나온 물질은 흰색의 반죽 또는 가루 형태 두 가지였는데 특별한 냄새는 나지 않았다고 한다. 울산에서 이 물질에 피부를 접촉한 피해자는 손발 저림, 어지럼증 등을 호소했다. 다른 지역에서는 피해 사례가 접수된 게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오후 서울 명동 서울중앙우체국에서는 독극물 의심 소포가 접수돼 건물이 전면 통제됐다. 또 서울 서초우체국에도 해외에서 온 수상한 소포가 보관돼 있다는 신고를 받고 경찰이 출동했다. 경찰 특공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서초우체국 직원과 이용객들을 건물 밖으로 내보냈다. 그리고 서울 용산우체국에도 해외에서 발송된 우편물 2개가 접수돼 경찰과 소방 당국이 현장에 출동했다.
그 외에도 은평, 송파우체국에서도 유사한 소포가 발견됐다.
서울시 이날 오후 8시 18분쯤 안전 안내 문자메시지를 시민들에게 발송
혼란이 잇따르자 서울시는 이날 오후 8시 18분쯤 안전 안내 문자메시지를 시민들에게 보냈다. 이 문자메시지에는 오늘 정체불명의 국제 우편물이 여러 곳에서 신고되고 있으니 출처가 불분명한 우편물을 열어보지 마시고 112나 119ㅇ[ 즉시 신고하시기 바랍니다라고 내용이 담겼다.
서울 용산구도 이날 오후 8시 53분 구민들에게 중국 대만발 유해 물질로 의심되는 해외 우편물을 수령하신 용산구민은 개봉하지 말고 즉시 112 또는 119로 신고해 달라는 안전문자 안내를 보냈다.
경기 용인동부서는 용인시 처인구의 한 공장에 수취인만 적힌 우편물 1개가 도착했다는 신고를 받았다. 이 우편물은 검은 비닐봉지에 싸여 있었고 수취인명은 러시아 이름으로 추정되는 외국인이었다. 이 우편물 역시 해외에서 발송된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 경찰청도 이날 대전시 동구 주산동의 한 주택에서 해외에서 알 수 없는 국제우편이 왔다는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의심 사례가 계속되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는 유사한 유형의 국제 우편물 반입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우정사업본부는 이미 국내에 반입된 우편물은 안전성이 확인된 경우에만 배달할 예정이라고 했다.
경찰은 온라인 쇼핑몰의 실적과 평점을 조작하기 위해 주문하지 않은 물건을 익명의 다수에게 발송하는 이른바 브러싱 스캠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잇다.
728x90
반응형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 재앙] 바다의 숨통이 "끊어지고" 2년 안에 지구의 "열 순환을 돕는 해류"가 멈출 수 있다 (0) | 2023.07.27 |
---|---|
[생존권 위기] 검은옷 입고 모인 교사 5천명 "교권 침해" 현실 고발하며 대책 마련 촉구 (0) | 2023.07.22 |
[유서 없다던 서이초 교사] 집에서 일기장 발견 "너무 힘들고 괴롭다" (0) | 2023.07.22 |
[죄의 삯은 사망] 초등교사 사망 3선의원 연류설 첫 유포자 의원회관 찾아와 선처 요청, 국민들도"선처보다 법"을 원한다. (0) | 2023.07.21 |
[체크] 서울 서초구 초등교사 사망 "소문과 진실" (1) | 2023.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