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환절기에는 일교차가 커지면서 기온의 변화에 빨리 적응하지 못해 몸의 면역력이 떨어져 누런 콧물과 코막힘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미세먼지, 황사, 꽃가루 등 각종 알레르기 유발물질이 많은 환절기에는 콧물, 코막힘 등 기관지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나는데, 누런 콧물과 코막힘이 오랜 시간 지속된다면 부비동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에 따르면 실제 4~5월에 급성 부비동염 환자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과 2022년의 월별 급성 부비동염 환자수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 3월 30만 8222명에서 4월 37만 9027명으로 급증했다. 마찬가지로 2022년에도 환자수는 3월 26만 9890명에서 4월 33만 4441명으로 증가했다.
부비동은 얼굴뼈 안에 있는 빈 공간으로, 작은 구멍을 통해 연결된 콧구멍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고 분비물도 내보낸다. 부비동이 특정 원인에 의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화농성 분비물(고름)이 고이면서 내부 점막에 염증이 발생하는데 이를 부비동염이라고 한다.
부비동염은 주로 소아 및 아동에게서 발병한다. 소아 및 아동은 부비동이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고 부비동의 배출구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어 코와 부비동이 마치 하나의 공간처럼 연결되어 있어 감기에 의한 염증이 쉽게 부비동으로 퍼진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 통계자료 분석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급성 및 만성 부비동염 전체 환자수는 396만 6499명이고 이 중 9세 이하 소아/아동은 121만 5861명으로 10명 중 3명 약 31% 골이었다.
부비동염 주요 증상으론 염증으로 코점막이 붓고 누런색의 콧물이 배출되지 않아 생기는 코막힘 증상, 코가 목뒤로 넘어가는 후비루, 안면부 통증, 두통 등이 있다. 증상이 심해지면 집중력 저하, 호흡 및 수면 방해 등 삶의 질을 저하하는 여러 증상을 동반한다.
부비동염은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바이러스가 주원인인 감기에는 세균감염이 의심되는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항생제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다. 반면 세균이 주원인인 부비동염은 적절한 항생제를 충분한 기간 동안 투여해야 하는 등 치료법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또한 부비동염을 발견하지 못해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하면 다양한 합병증과 만성 부비동염을 야기할 수 있다. 조기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이며, 부비동염의 경우 단순 문진, 비내시경 검사, 철조법, 조직검사, CT 촬영 등의 방법이 있다. 철조법은 부비동에 빛을 강하게 비춰서 투과되는 광패턴을 육안으로 판별하는 투시 방법이다.
급성 부비동염의 발병 원인은 주로 감기, 독감 등의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이다. 알레르기성 비염도 원인 중 하나이며, 특히 큰 일교차로 인해 감기가 유형하는 환절기는 물론 꽃가루 날림이나 황사가 잦은 봄, 대기 습도가 낮은 겨울 등에서 환자가 많이 발생한다.
부비동염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감기나 독감에 걸리지 않는 게 중요하다. 외출 후에는 손발을 잘 씻고 생리 식염수를 이용해 코 내부를 씻으면 도움이 된다. 실내 공기가 건조하지 않도록 30~40%의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습도 유지를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미지근한 물을 하루 2~3잔 이상 마셔주는 것이 좋다.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는 이뇨 작용으로 코가 더욱 건조해질 수 있으니 피하는 것이 좋다.
부비동염은 이비인후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점막 상태, 점액성 분비물 등 중심을 확인한 뒤 정확한 검사 등을 통해 코 내부의 상태와 염증의 정도를 판단해 진단받아야 한다.
그리고 부비동염은 크게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된다. 증상이 발병한 후 4주 이내는 급성, 12주 이상 지속된다면 만성 부비동염으로 진단한다. 급성 부비동염은 10~14일가량의 항생제 투여로 증상이 개선된다.
보조약제로는 부비동염의 콧물과 코막힘 증상을 완화하는 코막힘 캡슐 등이 있다. 만성 부비동염으로 발전하면 항생제와 함께 국소용 스테로이드제, 점액용해제, 비정막수족제 등 적절한 보조약제를 사용해 약물치료에 돌입한다.
약물치료로도 호전되지 않으면 수술까지 고려해야 한다. 특히 만성 부비동염의 경우 중이염, 안구봉와직염, 뇌수막염 등 합병증까지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발견 및 검진이 중요하다.
728x90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세건강] 신체 기운의 소통을 돕는 침향 "침향환" 효능 및 부작용 (0) | 2024.05.14 |
---|---|
[백세건강] 코로나19 변종 FLIRT 바이러스 확산 "또 백신 맞고 마스크 써야할까" (0) | 2024.05.13 |
[건강백세] 악수해 보면 알수 있다. "악력이 약한 사람"은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3배 높다. (0) | 2024.05.12 |
[백세건강] 노란색바나나보다 우리 몸에 더 좋은 "녹색바나나" 건강한 미생물 군집 촉진 (0) | 2024.05.10 |
[백세건강] 韓國人 20%가 가진 APOE4 유전자 "알츠하이머 반드시 걸린다" (0) | 2024.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