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18년 4.27 남북 판문점 선언 이후 6년여 만에 스위치를 다사 켠 대북 확성기 방송은 북한이 극히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심리전 수단 중 하나로 북한 정권의 실상과 남한 문화 등 접경지역 북한 주민과 군인들이 동요할 만한 내용을 집중 송출한다.
국방부는 9일 오후 최전방 지역 여러 곳에서 가동한 대북 확성기 방송은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 2015년 비무장지대 목함지뢰 사건, 2016년 4차 핵실험 등 북한의 중대 도발 때마다 정부가 대응 카드로 활용했다.
방송은 9일 오후 5시쯤부터 7시까지 경기도 파주 탄현면 등 전방 지역에서 이뤄졌다. 국방부가 대북 심리전 용도로 송출하는 자유의 소리를 고출력 확성기로 재송출했다.
애국가가 울려 퍼진 뒤 아나운서의 멘트로 방송이 시작됐고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 결정, 삼성전자의 휴대폰 출하량이 전 세계 38개국에서 1위를 차지했다는 등이 뉴스가 30분간 흘러나왔다. 또 방탄소년단의 히트곡 봄날, 다이너마이트, 버터와 볼 빨간 사춘기의 노래도 북측으로 송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북한의 다음 주 지역별 날씨, 장마당 물가 동향, 서울말과 평양말의 차이 등도 방송됐다.
대북 확성기 방송은 1963년 5월 서해 군사분계선에서 처음 시작됐다. 북한의 대남 확성기 방송에 맞대응하는 형식이었다. 이후 남북관계 부침에 따라 중단됐다가 재개되기를 반복했다. 이명박. 박근혜정부 때 대북 확성기 방송을 활용한 심리잔이 가동됐고 문재인정부 시절 이뤄진 4.27 판문점 선언을 계기로 6년 넘게 중단된 상태였다.
대북 방송에 극히 예민한 반응을 보인 북한
북한은 2015년 8월 군이 군사분계선 목함지뢰 도발에 대응해 11년 만에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자 북한은 군사분계선 남방한계선 이남에서 확성기를 향해 14.5mm 고사총과 76.2mm 평곡사포 3발을 발사하는 군사도발을 감행했다.
북한은 남북대화 때마다 확성기 방송 중단을 요구했다. 2017년 6월 중부전선 군사분계선을 넘어온 북한군의 귀순을 결심한 이유로 대북 확성기 방송을 꼽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은 대북 확성기 방송이 있을 때마다 중단을 요구해 왔다. 그만큼 북한에 영향력이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각에선 대북 확성기 방송이 불필요한 군사적 긴장감을 고조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남북이 대화를 통해 갈등을 봉합했던 과거와 달리 강대강 대치가 이어져 자칫 긴장 상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것, 북한도 대북 확성기 방송에 대응하기 위해 대남 확성기 방송을 준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728x90
반응형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호 영업사원] 윤석열 대통령, "에너지 플랜트" 협력 지평 미래지향적으로 확대, 투르크 대통령 "호혜적 동반자" 관계 더욱 심화 발전 (0) | 2024.06.11 |
---|---|
[힘 없는 나라의 설움] 2년만에 돌아온 우크라 포로의 처참한 몰골 "앙상한 뼈만..." (1) | 2024.06.10 |
[대통령실] 北 3차 "오물풍선"에 정부 즉각 조치, 오늘 중 "대북 확성기 방송" 실시 (0) | 2024.06.09 |
[대왕고래] 美 ACT-Geo, 동해 심해 가스전 유망성 상당히 높다 "지금 남아 있는 마지막 방법은 시추" (0) | 2024.06.09 |
[제1호 영업사원] 윤석열 대통령 올해 첫 해외 순방, 10~15일 중앙 亞 3개국 과 핵심 광물/에너지/플랜트 등 협력 확대 (0) | 2024.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