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기 화성시에 있는 일차전지 제조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다수의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24일 오전 10시 31분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소재 리튬전지 제조 업체인 아리셀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 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화재 발생 이후 연락이 닿지 않고 있는 직원이 20여 명에 달하는 데다, 불이 붙은 금속성 물질은 물로 불길을 잡기 힘들어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까지 최소 1명이 심정지, 1명은 중상, 5명이 경상 등을 입었다.
부상자들이 발견된 곳은 모두 불이 난 건물 2층이며, 아리셀 공장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연면적 2300여㎡, 3층 규모로 현장 직원 등에 따르면 이날 근무하고 있던 직원은 60여 명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
화재 사고 관련 브리핑을 진행한 김진영 화성소방서 재난예방과장은 선착대 도착 당시 내부에 있던 배터리 셀이 연속 폭발하며 급격히 불이 번져 진화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현재 구조 대원이 내부로 들어가 수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진영 재난예방과장은 오늘 근무자는 총 67명으로 추정되는데, 정규직과 당일 일용근로직이 섞여 있다 보니 정확한 작업 인원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연락이 되지 않는 인원은 21명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아리셀은 리튬 배터리를 제조해 완제품을 납품하는 곳이다라며, 최소 3만 5천여 개의 배터리가 공장 안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도 지속해서 폭발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하면서 인명 피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방당국은 2층에서 불이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당시 2층에서 몸을 피한 한 공장 관계자 등에 따르면 배터리 셀 1개에서 폭발적으로 연소가 시작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확한 발화 지점과 원인은 조사 중이다.
리튬은 금속성 물질로 물 등 일반적 진화 방식으로는 정말 진화하기가 어려워 마른 모래와 팽창 질석 등으로 대응 중이다. 불길을 잡기 어려운 데다 다량의 불산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구조대가 2층 등으로 진입하는 데 애를 먹고 있는 상태다.
또한 일각에서는 화재가 장시간 지속될 경우 건물이 무너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728x90
반응형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보] 경기 화성 "아리셀 화재 현장서 시신 20여구 발견" 소방 수색 작업 진행 중 (0) | 2024.06.24 |
---|---|
[目不忍見] 예비역 육군중장에게 복도에 나가 "한 발로 두 손 들고 서 있어" 호통치는 일진들 (0) | 2024.06.24 |
[히포크라테스 선서의 삶] 정부-의료계 공식 대화 시작하나 "빅5 휴진 움직임 관심" (0) | 2024.06.24 |
[청년을 기억해줘요] 체육 교사 꿈꾸던 청년 음주 뺑소니에 뇌사 "5명에게 생명" 나눠 (0) | 2024.06.24 |
[핵에는 핵] 미국서 커지는 한국 핵무장론 "북-러 관계가 핵무장 촉진 시킬 수 있는 내적 원인" (0) | 2024.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