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국방

[K무기] 100% 명중률 "드론 킬러 레이저" 3km 네에선 "원샷 원킬"

by 구름과 비 2023. 9. 30.
728x90
반응형

영화 스타워즈에서는 우주를 날아다니는 전투기들이 Iaser포를 쏘는 장면이 나온다.

우주를 날아다니는 전투기들이 Iaser포를 쏘는 장면

인기 게임 스타크래프트에서도 테란 종족의 Iaser포는 가공할 파괴력을 보여준다. 공상 과학 영화나 게임에서나 봤을 법한 Iaser 무기가 실전 배치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지난 4월 충남 태안 안흥시험장에서 레이저 대공 무기의 시험평가를 진행했다. 평가 결과 레이저를 30회 발사해 3km밖에 있는 무인기 30대를 모두 맞혀 100%의 명중률을 기록했다. 이날 국방부는 레이저 무기에 대해 전투용 적합 판정을 내렸다.

빛의 속도로 이동하는 지향성 에너지를 이용하는 레이저 무기는 사실상 회피가 불가능해 드론, 미사일 등에 대한 최적의 요격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다는 것은 무기 체계 개발이 완료됐고 본격적인 양산과 실전 배치가 가능하다는 의미다. 레이저 대공 무기에 대한 출력 등 세부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소형 드론을 격추할 수 있는 20kw급으로 추정된다.

레이저 무기는 고출력 에너지를 표적에 집중시켜 파괴하거나 무력화하는 기술이다. 레이저 무기의 가장 큰 장점은 초당 30만 km를 이동하는 지향성 에너지를 이용해  마하 8.0의 극초음속 미사일도 요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레이저 무기는 5.56mm 크기의 개인 소총 탄환보다 작은 영역에 대해서도 표적을 구분해 파괴할 정도로 정확하다. 또한 경제성도 뛰어나 사드 미사일 한 발의 가격은 110억 원이고 사드 기지 건설 비용과 운용유지 비용은 천문학적 수준이다.

신궁과 같은 국산 지대공 미사일 역시 단가가 대당 약 2억 원으로 알려졌다. 반면 레이저 무기는 1회 발사 비용이 1달러 이하로 예상된다. 레이저 무기는 항공, 지상, 해상 작전에 모두 쓸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 낙탄에 따른 지상 피해 우려가 적다는 장점도 있다.

체계 개발 사업의 주관은 국방과학연구소가 맡고 있으며, 시제품 생산은 한화가 수주한 것으로 전해진다. 군 당국은 레이저 대공 무기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 6월 열린 제3회 첨단기술사업관리위원회에서 고출력 레이저 기술개발방안이 의결돼 사업 타당성 조사를 거친 뒤 내년에 기술 개발에 들어간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