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국제학술지4 [건강백세] 콩 및 콩류에 함유한 이소플라본..."두유" 몸에 좋은 건 알았지만 "유방암" 위험도 감소 올해 2024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 대학교의 Sahar M. Alnefaie 교수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국제보건학 저널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풍부한 두유가 유방암 발병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타이프 대학교의 Sahar M. Alnefaie 교수 연구팀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부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유방암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사례 대조 연구를 진행했다.연구결과, 12가지의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풍부한 보충제 또는 식품 중에서 유일하게 두유가 유방암 발병 위험을 37% 감소시켜 유방암에 보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Echinacea 섭취는 유방암 위험이 144% 증가해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월경상태에 따른 하위 분석 결과에서.. 2024. 10. 20. [암흑전자] "김근수" 연세대 교수 연구팀, 빛으로 관측할 수 없는 "초전도체" 비밀 풀 단서 찾아 고체 물질 속에서 빛으로 관측할 수 없는 암흑 전자가 김근수 연세대 교수팀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발견됐다.고온 초전도체 영하 243도 이상에서도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질의 생성 원리를 밝히는 첫걸음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크다는 평가다.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김근수 연세대 교수 연구팀과 미국, 영국, 캐나다 연구진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고체 속 암흑 전자의 존재를 입증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에 게재됐다.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연구 성과는 초전도체의 비밀을 밝히기 위한 물리학의 첫 번째 난제를 풀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지금까지 암흑 상태의 전자는 액체나 기체 물질의 원자나 분자에서만 발견됐다. 고체 물질의 경우 수많은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돼 있는 특징 .. 2024. 7. 30. [냉동인간] 中연구진 극저온에서 냉동시킨 "인간의 뇌 → 해동 성공" 정상 작동 중국 연구진이 극저온에서 냉동시킨 인간의 뇌를 해동한 뒤에도 뇌세포의 유지와 성장을 가능케 하는 연구에서 의미가 있는 성공을 거뒀다고 밝혔다.뉴사이언티스트 등 과학전문매체의 5월 15일 보도에 따르면, 중국 푸단대학의 샤오즈청 박사 연구진은 인간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해 오가노이드라고 불리는 뇌 조직 샘플을 제작했다.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3차원적으로 배양하거나 재조합해 만든 장기 유사체로, 미니 장기와 유사 장기 그리고 인공 장기 등으로 불린다.중 연구진은 해당 뇌 오가노이드의 냉동과 해동 전 오가노이드를 담고 있을 특정 화합물들을 선별했다. 여기에는 설탕물부터 부동액, 다양한 화학물질을 섞어 만든 혼합물 등이 포함돼 있었다. 각각의 화합물들에 뇌 오가노이드 조직 샘플을 담근 뒤 액체질소에서 최소 24시.. 2024. 6. 1.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한국 연구진, 꿈의 물질 "상온 초전도체" 최초 구현 과학계의 대표적인 난제로 일컬어지던 꿈의 물질 상온 초전도체를 한국 연구진이 개발했다는 논문이 알려지면서 세계가 들썩이고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만 기대만큼이나 진위여부에 대한 놀란 또한 거세지고 있다. 실제 검증을 끝냈다면, 물리학계를 뒤흔들만한 혁신적인 성과지만, 실제 입증이 되기까지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7월 27일 발표에 따르면,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 연구팀이 지난 22일 논문 사전 출판사이트 아카이브에 공개한 상온 초전도체와 관련한 논문 2편이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논문은 세계 최초로 상온 초전도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담고 있다. 꿈의 물질 초 전도체는 특정 온도 이하에서만 전기저항을 잃는 초전도체.. 2023. 7. 3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