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6세대d램2

[삼성전자] 10나노 6세대 D램 첫 수율 확보, HBM4 청신호...삼성의 "가을" 만들자 삼성전자가 최선단 D램인 10 나노급 6세대(1c)에서 첫 수율을 확보했다. 내년 출시되는 6세대 HBM(고대역폭메모리)인 HBM4에도 이 D램 탑재를 준비하고 있는 만큼 이번 첫 수율 확보 이후 앞으로 수율 확장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7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10 나노급 6세대 D램인 D1c에서 처음으로 수율 확보에 성공했다. 수율은 생산품 대비 정상품 비율을 뜻하는데, 삼성은 이번에 1c D램에서 처음으로 양품 생산에 성공하며 수율이 나오기 시작했다.삼성 내부에서는 이번 첫 양품 생산으로 6세대(D1c) 기술 고비를 넘겼다고 평가한다. 앞서 삼성은 연내에 1c D램 양산을 시작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고 이를 내년 양산 예정인 6세대 HBM에 도입하겠다는 큰 그림까지 그렸다. .. 2024. 10. 19.
[SK하이닉스] 시장 선두 삼성과 격차 좁히기 "6세대 D램 4분기 양산" 체제 돌입 SK하이닉스가 차세대 D램 양산을 앞당긴다. 10 나노미터 급인 6세대 D램 1c 개발 및 양산 준비를 연내 마무리 한다.1일 반도체 시장 선두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한 조치로 코드명 스피카로 개발 중인 1c D램을 올해 4분기 양산과정으로 이관할 것으로 파악됐다.양산 이관은 기술 개발을 마치고 대량 생산 체제로 전환하는 작업으로, 양산을 추진한다는 이야기다. 이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는 SK하이닉스는 오는 11월 1c D램을 양산 이관할 계획이다. 이를 좀 더 당기는 방안까지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SK하아닉스가 양산을 서두르는 이유는 D램 1위인 삼성전자를 추격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올해 말 1c D램 양산을 목표하고 있다. SK하이닉스가 양산 이관과 동시에 대량 생산에 들어가면.. 2024. 5. 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