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고성능 배터리 사용이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화재 사고도 잇따르자 국내 배터리 전문가들이 리튬이온전지로 대표되는 배터리의 이해와 안전한 사용방법에 대해 안내하고 나섰다.
21일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는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배터리 안전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도칠훈 한국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불연성 리튬이온전지 개발 필요성을 언급했다. 현재 유통되는 리튬이온전지에 포함된 전해액은 가연성이다. 화재 발생 시 배터리 내 전해액이 열폭주의 원인이 된다.
이 전해액을 불연성으로 바꾸면 화재 발생을 위한 원료가 없기 때문에 열폭주 방지가 가능하다고 도칠훈 교수는 설명했다. 도칠훈 교수는 기존 공정을 수정해 개발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원가가 다소 상승할 수는 있지만, 열폭주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각해 볼 만하다고 말했다.
오기용 한양대 기계공학부 교수는 열폭주가 일어나기 전에는 온도 상승, 가스 발생 등의 징조가 있다며, 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오기용 교수는 양극제가 녹기 전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극제는 특성상 녹으면서 산소가 발생하는데, 가연성 물질이 산소를 만나면 더 거세게 타오르기 때문이다. 오기용 교수는 공포는 시스템에 대해 잘 알지 못할 때 가장 많이 생긴다며,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 배터리 사고 위험 또한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나용운 국립소방연구원 연구사는 전기차 화재의 특성인 수평화염에 대해 설명했다. 전기차 화재는 보통 배터리 팩에서 시작된다며, 배터리 팩은 차량 상부 커버가 닫고 있기 때문에 열폭주가 발생하면 불은 차량의 창문 쪽인 좌우로 퍼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나용운 연구사는 문제는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들은 모두 천장에 있기 때문에 불이 수평으로 나면 감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라며 현재 국립소방연구원은 인공지능을 통한 화재 영상 인식 방법을 고안 중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 소비자들에게 인증된 배터리 제품 사용할 것 강조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배터리는 아는 만큼 안전하게 쓸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훈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너지저장연구센터장은 한국에서 출시되는 제품의 경우 1500회 이상의 안전테스트를 거친 뒤 시중에 나오므로 정상적으로 사용한다면 화재 위험은 낮다며, 고속 충전을 비번하게 계속 사용하는 등 배터리가 스트레스받을 수 있는 활동을 지양하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728x90
반응형
'과학. 유물.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앙박물관] 수장고에 묻혔던 200년 전 그림, 등장인물만 2234명 의문투성이 그림 한 점 (0) | 2024.08.23 |
---|---|
[500g 다이아몬드 원석] 아프리카 보츠와나 "2492캐럿 다이아몬드" 원석 발굴, 역대 2번째 (1) | 2024.08.23 |
[Circum-Pacific belt] 불의 고리 꿈틀, "러시아 극동 캄차카반도" 해역 규모 7.0 지진 (0) | 2024.08.19 |
[人間末種] "아빠 몰래 엄마랑 사귀면 안 되냐" 등, "11살 초등학생 제자" 추행한 유명 국악인 (0) | 2024.08.16 |
[별똥별] 오늘 밤 11시 30분 경,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우주쇼", 시간당 100개 쏟아진다 (1) | 2024.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