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예비부부도 난감] "식대가 8만원인데 축의금 5만원?", 눈치보여 결혼식장 못가겠단 하객들

by 구름과 비 2024. 10. 9.
728x90
반응형

고물가 시대에 결혼식장 식대가 훌쩍 뛰면서 예비부부와 하객 모두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식대가 8만원인데 축의금 5만원?, 눈치보여 결혼식장 못가겠단 하객들

8일 웨딩업계 등에 따르면 서울에 위치한 대부분의 결혼식장 식대는 7만~8만 원선이며, 강남권은 식대가 8만~9만 원을 웃도는 곳도 적지 않다.

웨딩업계는 코로나 사태가 끝난 이후 식대,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웨딩홀 대여 등의 가격을 전반적으로 올렸다. 예비부부들은 그중에서도 결혼식장 식대가 대폭 인상됐다고 체감하고 있다.

하나의 보기로, 서울 송파구에 있는 한 결혼식장의 식대는 지난해 6만 2000원이었으나 올해 8만 3000원으로 33.9% 올랐다. 또 강남구 청담동에 있는 결혼식장은 지난해 7만 원에서 올해 8만 5000원으로 21.4% 인상됐다.

식대가 오르면서 하객들의 축의금 부담도 커지고 있다. 그간 기본 5만 원, 가까운 관계인 경우 10만 원 안팎을 축의금으로 내는 게 일반적이었으나, 고물가에 이런 통념도 바뀌고 있어서다. 또한 친분에 따라 축의금을 다르게 냈던 과거와 달리 이제는 하객들이 비싼 식대를 고려해 축의금을 더 내는 분위기다.

한 30대 직장인은 결혼 성수기인 10~11월 거의 매주 결혼식이 있는데 축의금 때문에 고민이라며, 참석 시 10만 원이 기본이다 보니 부담이 크다. 차라리 불참석하고 5만 원을 내는 게 마음 편하다고 말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설문조사로도 나타난다. 지난 4월 신한은행이 발간한 2024년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지인의 결혼식에 가지 않는다면 축의금으로 5만 원을 낸다는 사람이 전체의 52.8%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만 원을 낸다고 답한 사람이 36.7%, 20만 원이 3.3% 순이었다.

결혼식에 직접 참석하는 경우는 10만 원을 낸다는 의견이 67.4%로 가장 많았다. 이어 5만 원이 16.9%, 20만 원이 8.6%. 15만 원이 1.5% 순이었다. 또 봉투만 보내는 경우 평균 축의금은 8만 원이었고, 결혼식에 참석하는 경우에는 11만 원이었다.

결혼식 장소가 호텔이라면 평균 축의금은 12만 원으로 올랐다. 호텔 결혼식에서는 축의금으로 10만 원을 낸다는 응답이 57.2%로 가장 많았고, 20만 원을 낸다고 응답한 비중도 15.6%에 달했다. 반면 5만 원을 낸다는 응답은 40.8%에 불과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