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현대중공업이 25일 카타르 도하에서 국영 카타르에너지가 발주하는 LNG 운반선 17척 건조 사업을 수주했다.
총 39억 달러 약 5조 2000억 원 규모로 단일 예약으로는 한국 조선업 사상 최대 규모다. HD현대중공업의 반년 치 일감에 해당하는 물량으로, 이로써 올해 세계 LNG 운반선 수주에서 한국 기업 점유율은 74%에서 81%로 높아졌다.
카타르를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도하 아미리 디완궁에서 타밈 빈 하미드 알사니 국왕과 정상회담과 국빈 오찬을 하고 한국 기업의 추가 LNG 운반선 건조 수주와 함께 한국 해운 업체가 참여한 선반 운영 계약 입찰에 대한 카타르 측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타밈 국왕 정상회담에선 스마트 건설 공법과 기술 협력 강화하는 내용의 MOU와 토지, 공간 정보 분야 신기술 활용을 위한 MOU가 양국 정부 간에 체결됐대. 양 정상이 참석한 가운데 한-카타르 무역, 투자 촉진 프레임위크도 체결했다.
양국은 기존 장관급 전략협의회에 에너지 공급망, 디지털, 그린, 보건 분야를 신설하고 정부 간 상설 협의 채널을 구축하기로 했다. 양국 간 중소, 벤처 기업 분야 협력 MOU도 맺었다.
사우디와 마찬가지로 카타르도 원유와 LNG 등 에너지 수출국이지만 경제 구조를 제조업, 지식 산업 등 신산업 구조로 전환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런 흐름에 맞춰 이번 순방 때 사우디와 카타르를 상대로 에너지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면서, 한국기업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세일즈에 주력했다.
윤석열 대통령 국빈 방문을 계기로 한국 건설 업체의 카타르 인프라 시장 진출 협력도 추진된다. 현재 한국 기업은 카타르에서 인프라 사업 25건에 참여하고 있고, 15억 달러 규모의 담수 복합 발전소 사업 참여를 추진 중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양국 간 스마트 공법 협력, 국가 공간 정보 협력 MOU 체결한 것도 인프라 사업 진출 기반을 다지려는 차원이라고 했다.
카타르의 식량 안보 수요에 맞춰 스마트팜 진출도 본격 추진된다.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올 8월까지 한국 스마트팜 수출 및 수주 실적은 2억 4000만 달러 규모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3배 이상 급성장했다며, 식량 안보를 강화하려는 중동 국가들은 스마트팜 핵심 파트너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전날 도하에 도착하자마자 국제원예박람회 한국관을 찾아 스마트 농업인부터 만난 것도 이런 차원이란 것이다.
728x90
반응형
'시사.국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48년 8월 15일] 5천년사에 영원무궁 빛나는 날 "이승만 대통령의 건국 기념사" (1) | 2023.10.28 |
---|---|
[윤석열 대통령] 사우디-카타르 4박 6일 순방 귀국하자마자 "박정희 전 대통령 추도식행" 현직 대통령 참석은 처음 (0) | 2023.10.26 |
[1호 영업사원] 윤석열 대통령 숙소 깜짝 방문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단독 환담과 운전기사 자청해 행사장 동행" (0) | 2023.10.25 |
[윤석열 대통령] 카타르 국영 통신사 QNA 서면 인터뷰 "방산-첨단산업으로 협력 확대" (0) | 2023.10.24 |
[윤석열 대통령] 왕세자 빈 살만 모교 킹사우드대 강연 "새 길 함께 개척하는 퍼스트 무버 돼야" (1) | 2023.10.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