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세계 최초로 달 남극 착륙해 임무 수행했던 인도의 달 착륙선과 탐사 로봇이 길고 추운 달의 밤을 이겨내지 못하고 깨어나지 못했다.
23일 인디아 투데이 등에 따르면 인도우주연구기구(ISRO)는 전날 달에 아침이 밝아와 잠들었던 달 착륙선 비크람과 탐사 로봇 프라기안과 교신을 시도했지만 아무런 신호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ISRO는 앞으로 며칠 동안 교신을 시도할 계획이자만. 이들이 깨어나 다시 탐사를 시작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전했다.
인도의 달 탐사선 찬드라얀 3호의 착륙선 비크람은 지난달 8월 23일 달 남극에 착륙했다. 성공적으로 착륙 후 탐사 로봇 프라기 안이 내려 탐사를 시작했다. 프라기 안은 13일 동안 100m 정도를 이동하며 남극 표면에 황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비크람은 달 남극 표면토양의 기온을 측정하는 등 각종 과학 데이터를 지구로 보냈다. 그 사이 달의 밤이 찾아왔고 이들은 지난 3일 수면 모드에 들어갔다.
달에서는 낮과 밤이 14일 주기로 바뀌어 달에서의 하루는 지구에서의 약 4주와 같다. 특히 달 남극은 밤 동안 기온이 영하 100도 이하로 떨어지는 극한의 환경이다. 태양광으로 전기를 만들어 작동하는 이들은 태양 전지판을 해가 떠오를 곳을 향해 두고 잠들었고, 22일 해가 떠올라 전지판이 데워졌지만 깨어나지 못했다.
이를 두고 BBC는 극한적인 저온에서 배터리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전했다. 이어 비크람과 프라기 안이 달의 밤을 이겨내지 못할 것이란 전망은 어느 정도 예측 했지만, 영하 100도 이하로 떨어지는 길고 혹독한 달의 밤을 견디려면 보온 장치를 달거나 내구성이 강한 부품을 사용해야 하지만, 그만큼 비용과 무게 등이 커져 비크람과 프라기 안은 그러한 장치를 달지 않았다고 전했다.
728x90
반응형
'과학. 유물.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 착륙선] 2024년부터 10년간 5300억원 투입 "2032년 발사" (1) | 2023.10.30 |
---|---|
[이상한 나라] "고려 불상" 고국 왔지만 "대법원 일본 소유권 인정" 정부 상대 부석사 반환소송 패소 (1) | 2023.10.27 |
[역사왜곡] 군함도. 세계유산위원회 "한국과 대화를" 일본은 일없다 배짱 (0) | 2023.09.16 |
[1000년 전 외계인] 2017년 페루 나스카 인근 해안서 발견된 "손가락 세개" 미라, 멕시코 의회에 등장 (0) | 2023.09.14 |
[우주를 보다] NASA의 소형 "헬리콥터 Ingenuity" 비행 중 탐사로보 포착 (0) | 2023.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