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제1차 한미일 비지니스 대화] 韓美日 3국 경제협의체 출범 "삼성전자-인텔-도요타" 등 참여

by 구름과 비 2024. 6. 27.
728x90
반응형

한미일 경제협의체가 출범했다. 협의체엔 3국 경제단체와 삼성전자, 인텔, 도요타 등 주요 기업들이 참여했다.

韓美日 3국 경제협의체 출범

한국경제인협회는 지난 26일 미국상공회의소, 일본 경제단체연합회와 함께 미국 워싱턴 DC에서 제1차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3국 경제단체는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해각서에는 지난해 8월 한미일 정상회의 합의를 계승해 3국 경제계가 경제 안보와 기술 분야에서 협력을 도모하고, 경제협력 확대를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연 1회 이상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 정례화에 합의했다.

한미일 비즈니스 대화는 3국 정상이나 정부 간 회의와 연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또한 3국 경제단체는 정보통신, 디지털 경제, 에너지, 인프라 등 분야에서 정보 교환과 무역 투자 확대를 위한 정책제언을 이어 나가기로 했다. 국제무대에서 경제 관련 3국 공통 이슈에 대해 공동의 목소리도 낼 계획이다.

앞서 한미일 정상은 작년 8월 미국 캠프데이비드에서 만나 3국 경제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한미일 대표 기업들 협력 강화하기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한국기업은 삼성전자, SK E&S, SK 아메리카스, 현대차, 포스코, 한화큐셀, 효성, LS 등 8개사다. 미국은 인텔, 마이크론, 퀄컴, 구글, 아마존, 쿠팡 등 10개 기업이며, 일본은 도요타, 소니, 히타치, 스미토모 등 8곳이 참여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사이토 겐 일본 경제산업상, 돈 그레이브스 미국 상무부 부장관 등도 회의에 참석해 경제인들을 격려했다.

김창범 한국경제인협회 상근부회장은 한미일 정상회의에서 논의했던 산업과 경제분야 삼각 협력이 문서로 제도화됐다는 점에서 경제계는 안정적인 3국 경제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찰스 프리먼 미상의 아시아 담당 부회장은 반기마다 실무그룹 회의와 연례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경제계가 3국 정부 정책 결정 과정에서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치로 하라 게이단렌 상무는 불안정한 글로벌 정세 속 3국간 협력 중요성이 커진 만큼 한미일 경제협의체를 통해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토론 세션에서 3국 경제인들은 무역과 첨단산업, 에너지와 분쟁 광물, 국내 과제와 정책권고 등 3개 분야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안정적 공급망 확보가 경쟁력과 직결되는 반도체와 배터리 등 첨단분야 협력은 물론, 핵심광물 확보와 청정에너지 전환 등에 대한 토론이 이어졌다.

안덕근 장관은 오늘 회의 직전 제1차 한미일 산업장관회의를 개최하고, 3국 산업협력 발전과 글로벌 리스크 공동대응에 대한 협력의지를 공고히 했다며, 3국 기업들이 나눌 산업협력 미래비전이 현실이 되도록 한국 정부도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