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인류의 활동에 의해 21세기 들어 지구의 자전축이 급격히 기울어졌다는 서울대 연구팀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하수 개발 급증으로 해수면이 상승하고 자전축이 틀어지고 있다는 연구 분석이다. 국내 서울대 연구진이 발표한 이 같은 연구결과는 미국 주요 언론이 잇따라 보도하는 등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28일, 뉴욕타임스는 지구 자전축에 문제가 생겼다. 인간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는 제목으로 서울대 서기원 지구과학교육과 교수의 연구를 소개했다.
1993년부터 2010년까지 약 80cm의 급격한 자전축 이동이 있었고, 이는 지하수 개발이 폭증하면서 나타난 결과라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2000년대 이전까지 지리적으로 북극이라고 여겼던 지점이 캐나다 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발견했으나 지금까지 왜 그런지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다.
서기원 교수는 학술지 지구물리연구 레터를 통해 지난 15일 발표한 논문을 통해 지하수 사용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그로 인한 지구 자전축 변화의 인과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을 제기했다.
지구 자전축 변화의 인과 관계
자전축 변화가 처음 관측됐을 땐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하면서 빙하가 녹아 해수면이 높아지고 얼음이 떠내려간 탓이란 주장이 나왔다. 남극의 빙하 유실로 4~8cm, 그린란드의 빙하 유실로 6~8mm 정도의 해수면 상승이 있었다고 알려졌다.
연구팀은 그러나 인류의 지하수 개발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더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결론 내렸다. 지하수 고갈이 해수면 상승을 유발한다는 증거를 확보하긴 쉽지 않았으나, 연구팀은 반대로 지구의 자전축 이동량을 분석해 지하수 고갈과 해수면 상승의 상관관계를 파악했다.
분석 결과 지구의 물질량 분포가 바뀌었다고 가정했을 때 자전축 변화의 예측값과 관측값이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했다. 연구팀은 초장기선 전파간섭계 시스템을 이용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류가 1993년부터 2010년까지 약 2조 1500t의 지하수를 퍼올린 결과 해수면이 약 6mm 상승했다. 지구에 존재하는 물의 전체 양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지하수를 개발해 인간이 쓰고 흘려보내면 해수면이 상승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즉 지구의 물질량 분포가 바뀌면 지구의 자전축도 이동한다.
연구팀은 많은 양의 지하수가 사용되고 있는 인도 북서부와 미국 서부 지역에서 먼바다의 해수면이 상승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캘리포니아 서부 밸리 지역 지하수 개발에 따른 위험은 오래전부터 지적돼 왔다며 가뭄이 잦아지면서 지하수를 뽑아 쓰기만 하고 빈 공간을 채우지 않아, 지반 침하로 인한 주택과 인프라 피해가 우려될 정도였다고 전했다.
한편 자전축 변화로 인한 기후 변화 우려도 제기된다. 자전축의 변화는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약 20만 년 전 지금의 아프리카에서 등장한 현상 인류는 약 13만 년 지구 자전축이 흔들리며 급격한 기후변화가 발생하면서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728x90
반응형
'과학. 유물.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ure Astronomy] 초기우주서 "5배 느린 시간지연" 확인 "아인슈타인" 이론 증명 (0) | 2023.07.06 |
---|---|
[위대한 도약] 하늘에서 운전하는 "4억짜리 비행차" 미국 시험비행 첫 승인 (0) | 2023.07.05 |
[국제천문연맹] 대한민국이 제안한 외계행성 "마라와 아라" (2) | 2023.06.09 |
[우주보안] 하늘 위 위성 "해킹"된다면, 민간 및 군사 안보 위기까지, 사이버 보안 초동대처 필요. (0) | 2023.06.03 |
[국립중앙박물관] "거장의 시선.사람을 향하다" 2일 개막, 서양 미술 거장들이 그린 명화 만나 볼 수 있다. (0) | 2023.06.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