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밤하늘에서는 달과 토성이 50년 만에 가장 가깝게 보일 예정이다. 달과 토성이 이번만큼 가까워지는 것을 다시 보려면 또 한 번 50여 년을 기다려야 한다.
5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12월 8일 저녁 5시 49분 남쪽 하늘에서는 달과 토성이 0.3도로 근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번 달과 토성 근접 현상은 9일 0시 14분까지 밤 시간 내내 관측할 수 있다.
맨눈으로 보면 달과 토성이 거의 붙어 보이고, 망원경으로 관측할 경우에는 두 천체가 하나의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달과 토성이 가깝게 보인다 해서 두 천체의 거리가 물리적으로 가까워지는 것은 아니다. 달과 토성의 공전 주기가 맞물리며 가깝게 보이는 것, 지구에 대한 달의 공전주기는 29.5일, 태양에 대한 토성의 공전주기는 29.5년인데 두 천체의 공전궤도면 기울기 차이로 인해 두 천체의 근접은 드문 현상이다.
실제로 천문학계에 따르면 이번 달과 토성 관측은 서울 맨눈 관측을 기준으로 1974년 2월 4일 이후 최대로 가까워지는 때다. 이번만큼 두 천체가 다시 가까워지는 때는 2075년 8월 20일로 예상되고 있다.
달과 토성이 얼마나 가까운지는 일반인들도 손가락을 이용해 각거리를 측정해 봄으로써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각거리는 관측 장소에서 멀리 떨어진 두 지점을 각각 관측 지점과 연결했을 때 두 선분이 이루는 각을 의미한다.
관측 대상이 서로 가까울수록 각거리는 작아지며, 두 대상 간의 각거리가 1도 이하일 때 근접 현상이라고 부른다. 이번 달과 토성의 각거리는 오후 17시 49분 기준 약 0.3도로 달의 겉보기 지름인 0.5도보다 작은 간격을 두고 근접한다.
각거리는 특별한 장비 없이 손가락만으로 잴 수 있다. 팔을 길게 뻗었을 때 새끼손가락의 두께가 약 1도이며, 엄지손가락의 두께는 약 2도다. 엄지와 새끼손가락을 접고 나머지 세 손가락을 펴서 붙이면 그 폭이 5도이며, 주먹 하나는 10도, 그리고 손바닥을 최대한 폈을 때는 20도가 된다.
한편 이번 주말에는 올해 중 가장 밝게 빛나는 목성도 볼 수 있다. 태양, 지구, 행성의 순서로 천체들이 위치할 때 衝의 위치에 있다고 하는데, 이 상태에서는 행성이 지구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밝게 빛나는 관측의 최적기다.
8일 밤에는 목성이 충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일몰 이후 북동쪽 하늘에서 떠올라 밤새도록 관측할 수 있을 전망이다.
728x90
반응형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숭고한 생명나눔] "하늘에서 엄마랑 다시 만나"... 20대 예비신부 5명 살리고 "본향"으로 (0) | 2025.03.20 |
---|---|
[年末年始] 따뜻한 연말 나누는 게임사들... 사회적 책임 이행하는 ESG 경영 강화 및 봉사 기부 잇따라 (4) | 2024.12.21 |
[13월의 월급] 달라진 2024년 연말정산, 13월의 월급 만들려면 직장인 어떤 것부터 챙겨야 할까?...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 (2) | 2024.12.07 |
[기상청 겨울전망] 올 겨울 "12월·1월·2월" 평년보다 덜 춥다... 고기압 순환 강화에 "대기 안정" (1) | 2024.11.23 |
[기상청] 내일부턴 겨울, "찬바람까지 불고 체감온도 뚝"... 서울은 영하권에 강풍까지 (0) | 2024.1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