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삼일절4

[제106주년 삼일절] "서경덕·송혜고" 3. 1절에 "독립운동가 박차정" 영상 다국어로 제작 공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와 배우 송혜교가 의기투합해 여성독립운동가 박차정(1910~1944)을 국내외에 알린다.서경덕과 송혜교는 제106주년 삼일절을 맞아 독립군 여전사, 박차정 영상을 다국어로 제작해 공개했다.이번 영상은 4분 30초 분량으로 서경덕 교수가 기획하고 배우 송혜교가 후원했으며, 한국어/영어 내레이션을 각각 연출했다.독립운동가 박차정은 부산 동래 출신으로, 15세 때부터 조선소년동맹에 가입해 활동했다. 1925년 일신여학교에 입학해 조선청년동맹과 항일 여성운동 단체인 근우회 동래지부 회원 등으로 활약했다. 광주학생운동이 전국적 반일학생운동으로 확대되도록 기여했으며, 남경조선부인회를 조직해 부녀자들의 민족의식 고취와 대동단결을 주도했다.영상의 주요 내용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특사, 근우회 핵심 간.. 2025. 3. 1.
[을사년 3·1절 독립선언문] 대한민국은 "중공의 지배를 거부하는 자유 독립국"이다 조선 국민이 독립을 모르는 까닭이 외국 사람들이 조선을 업신여겨도 분한 줄을 모르고... 조선 국민은 청국에 지배를 받으면서도 몇 백 년을 원수 같은 생각을 아니하고 속국인 체하고 있었으니... 어찌 불쌍한 인생들이 아니리오.이는 1563년  6월 20일 자 독립신문 국문본 논설이다. 논설이 앞서고 2년 뒤에 청나라 사신을 맞이하던 영어문을 철거하고 조선이 청나라의 속국에서 벗어나 자주독립 국가임을 선언하는 상징으로 독립문을 건립했다.106년 전 3월 1일은 우리의 선조들이 일제 치하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일제에 분연히 항거하던 날이다. 보수 우익에게 현재의 일본은 반일에서 극일을 거쳐 한 · 미 ·일이 공조하는 우방이 된 반면, 북 · 중 · 러 편에 선 좌파에게 일본은 아직도 배척의 대상이다.중공.. 2025. 2. 28.
[삼일절] "志士仁人 殺身成仁(지사인인 살신성인)" 안중근 의사 옥중 친필 복원, 110년 전 애국혼 서린 필체. 110년 전 안중근 의사가 옥중에서 쓴 글씨가 1년여간 각고의 노력 끝에 보존처리를 거쳐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 됐다. 안중근 의사 순국 직전과 애타게 그리던 가족의 모습을 담은 사진도 함께 만나볼 수 있다. 志士仁人 殺身成仁(지사인인 살신성인) 높은 뜻을 지닌 선비와 어진 사람운 옳은 일을 위해 목숨을 버린다. 1910년 3월 뤼순 감옥에서 쓴 여덟 자의 힘찬 필에는 안중근 의사의 결연한 의지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이 필체는 자신의 공판을 참관하고 신문 잡화를 그려준 코마츠 모토고에게 직접 써준 글씨이다. 안중근 의상의 유묵이 보존처리를 통해 말끔하게 복원돼 공개되기까지 과정은 만만치 않았다. 손상이 심한 족자에서 글씨를 떼어내 오염을 제거한 뒤 종이를 덧대는 작업을 반복했다고 전했다. 남유미 리움미술.. 2023. 3. 1.
[삼일절] 104주년 맞아 "의병장 김학홍" 선생 등 104명 독립유공자 포상. 국가보훈처는 3.1절 104주년을 맞아 나라를 되찾기 위해 한 몸을 바친 104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하기로 했다. 26일 국가보훈처는 이북 3도를 오가며 활약한 의병장 김학홍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국장과 청산리전투 승리의 동력을 마련한 독립군 대원 김언배 선생에게도 건국훈장 애국장 등 104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밝혔다. 김학홍 선생(1882.~미상)은 1908년 의병 진영을 결성해 평남 양덕군과 함남 영흥군. 황해도 곡산군 등지에서 일본군과 일진회원을 공격했다. 또한 경술국치 이후인 1913년에는 평남 영흥군에서 일본군을 공격하는 등 이북 3도를 종횡무진하며 일본의 간담을 서늘케 했다. 하지만 의병활동 6년 만인 1913년 일본군에게 체포되고 악형으로 고초를 겪었다. 이 소식이 연해주 한인 동포 신.. 2023. 2. 2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