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백두산 중국 부분이 백두산의 중국명 창바이산으로 UNESCO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됐다.
28일 UNESCO 홈페이지에 따르면 전날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창바이산을 비롯한 18개 후보지를 새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했다.
이로써 세계지질공원은 총 213곳 48개국으로 늘었다. 신규 세계지질공원들은 작년 9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이사회에서 이미 등재가 권고된 터라 이번 집행이사회에서 인증이 사실상 예정된 상태였다.
유네스코는 창바이산을 두고 지린성 남동부에 있는 화산활동의 야외교실 같은 곳이라면서 가장 잘 보존된 화산으로 화산이 형성되는 과정을 연구할 수 있는 곳이며, 정상에 있는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크고 높은 화산호인 천지는 절경을 선사한다고 소개했다.
중국은 2020년 자신들 영토에 속하는 백두산 지역을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해 달라고 UNESCO에 신청했다. 현재 백두산은 4분의 1인 북한, 4분의 3이 중국 땅에 해당한다. 다만 천지는 약 54.5%가 북한이다.
세계지질공원은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명소와 경관을 보호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지정된다. 중국이 자국 영토를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하는 것을 문제 삼기는 어렵지만 이번 등재가 국제사회에서 백두산보다 창바이산이라는 명칭이 더 많이 사용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승인은 백두산의 지질학적 보호가치에 따라 관련 절차에 따라서 결정된 것으로 안다면서도 관련된 동향을 계속 주시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박상미 주유네스코대사는 집행이사회 결정 직후 백두산은 한국인에게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산이며, 앞으로 등재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세계지질공원 지정 추진도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외교부는 소개했다.
728x90
반응형
'과학. 유물.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태양] 한발 앞선 대한민국 "FIRE 모드로 핵융합"을 향해 차쯤 현실로... (0) | 2024.04.13 |
---|---|
[NASA] 2030년 황량한 달에서 지구인이 제작한 "달 탐사 차량"이 달린다. (0) | 2024.04.05 |
[지구 위기] 유럽의 혹독한 겨울 "독일-헝가리는 홍수&영국은 폭풍" (0) | 2023.12.31 |
[불세출 명작] 꿈속 환타지 풍경화 "몽유도원도" 500년만에 영구 귀환 (1) | 2023.12.27 |
[지구위기] 남극 북부에 있는 서울 면적의 6배 "세계 최대 빙산 A23a" 크기 줄며 해류따라 이동 시작 (1) | 2023.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