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유물.IT

[지구위기] 남극 북부에 있는 서울 면적의 6배 "세계 최대 빙산 A23a" 크기 줄며 해류따라 이동 시작

by 구름과 비 2023. 11. 30.
728x90
반응형

남극 북부에 있는 서울 면적의 6배, 여의도 63 빌딩 높이의 1.6배나 되는 세계 최대 빙산 A23a이 해류 따라 이동을 시작했다.

남극 북부에 있는 서울 면적의 6배, 여의도 63 빌딩 높이의 1.6배나 되는 세계 최대 빙산 A23a이 해류 따라 이동

27알 BBC는 남극 북부에 있던 세계 최대 빙산 A23a의 이동 속도가 최근 빨라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A23a 빙산은 넓이 3900㎢, 높이 250m인 빙산은 1986년 남극의 필치 너 빙붕에서 분리된 이후 웨들 해에 멈춰 섰다, 하지만 빙산의 움직임이 처음 포착된 건 2020년이다.

40년 가까이 발이 묶여 있던 빙산이 왜 향해에 나섰을까. 영국 남극 탐사대의 앤드루 플래밍 박사는 처음에는 해저 수온의 변화 때문일 수도 있다고 생각했지만, 이제 때가 됐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빙산이 자연스레 녹으면서 크기와 무게가 줄어 해류를 따라 이동한다는 것이다.

남반구를 표표히 떠다니는 A23a와 가장 가까운 대륙은 남미다. 아르헨티나 남쪽 영국령 사우스조지아섬 인근에 도달하면 이 섬에 있는 물개, 펭귄, 새 등 동물 수백만 마리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A23a의 엄청난 부피가 동물들의 정상적 먹이 사냥 경로를 가로막고 새끼에게 제대로 먹이를 주지 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A23a가 생태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빙산이 녹으면서 얼음에 섞여 있던 미네랄을 바다에 방출하는데, 이 미네랄이 해양 먹이사슬의 기초를 형성하는 유기체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도 있다고 했다.

또한 우즈홀 해양연구소의 캐서린 워커 박사는 이 빙산은 생명을 주는 존재이며, 많은 생물학적 활동의 출발점이라고 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