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유물.IT

[보물船] 300백년 간 카리브해에 잠자던 보물선, "금은 보화만 200톤" 인양하기 위해 탐사 작업 시작

by 구름과 비 2024. 5. 30.
728x90
반응형

27조 원에 달하는 금은보화로 가득 찬 카리브해에 잠자던 보물선을 인양하기  위한 탐사 작업이 시작된다.

300백년 간 카리브해에 잠자던 보물선 속 금은보화.

26일 영국 BBC에 따르면 300여 년 간 카리브해에 잠들어 있던 스페인 보물선 산호세 호의 소유권을 주장해 온 콜롬비아 정부가 탐사 작업을 본격적으로 개시했다.

콜롬비아 정부는 카르타헤나 앞바다 해저 900m에서 침몰한 채 발견된 산호세 호 주변 해역을 고고학적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원격 센서와 잠수 로봇 등을 활용한 1차 탐사를 진행한다.

1차 탐사는 침몰 현장의 상세한 이미지를 확보하고 고고학적 유물 현황을 파악하는 게 목적이다. 2차 탐사에서는 산호세 호의 잔해에서 고고학적 유물을 끌어올리는 작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산호세 호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5세(1683~1746년)의 함대에 속해있던 범선이며, 1708년 6월 영국 함대와 전투를 벌이다 침몰해,  600명에 달했던 선원 대부분은 사망했다. 

산호세 호에는 당시 스페인 식민지였던 볼리비아와 페루에서 가져온 200t가량의 금과 은, 에메랄드 등이 실려 있었다며, 현재 가치는 약 200억 달러 약 27조 2500억 원으로 추산된다.

산호세 호의 정확한 위치는 지난 2015년 확인됐다. 또한 소유권을 둘러싼 국제적 분쟁은 198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산호세 침몰 지점을 발견했다고 주장한 미국 인양업체가 콜롬비아 정부와 보물 지분을 놓고 소송을 벌였다. 미국 법원은 2011년 콜롬비아 정부의 손을 들어줬다.

2015년 콜롬비아 정부가 사상 최대의 발견이라며, 산호세 호 발견 사실을 공식 발표한 뒤에는 스페인 정부도 소유권을 주장했다. 콜롬비아 정부는 자국 영해에서 발견된 만큼 산호세 호는 자국의 국가 유산이라고 주장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