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해 파킨슨병이나 알츠하이머병을 감지할 수 있는 스마트 패치가 개발했다고 현지시간 17일 영국 스완지대 산지브 샤르마 교수 연구팀이 밝혔다.
피를 뽑아내지 않고도 신경퇴해성 질환을 진단할 수 있으며, 현재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하기 위해서 자기 공명영상(MRI)이나 양전자방출단층 촬영(PET)과 함께 고통스러운 뇌척수액 검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개발된 스마트 패치는 피부를 최소한으로 뚫으면서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확인한다. 연구팀은 스마트 패치에 부착된 마이크로니들에 웨어러블 센서를 장착해 단백질의 일종인 인터루칸-6(IL-6)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인터루칸-6는 피부 밑에서 조직의 세포를 둘러싸는 간질액에 존재한다. 염증을 촉진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에 관여한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 인터루칸-6의 농도가 낮아지게 된다.
스마트 패치의 사용법은 간단하며, 6분 정도 피부에 부착하면 되고, 집에서도 자가 진단이 가능하다. 샤르마 교수는 최소한으로 인체에 침투하면서 정확도가 높다면서 이 기술은 피부를 통해 뇌와 같은 중요한 기관을 확인하는 창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알츠하이머병의 진단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은 최든 연이어 등장하고 있다. 미국 토마스캐리거리 펜실베이니아 피츠버그대 교수 연구팀은 신체 말단에서 뽑아낸 혈액에서 알츠하이머병을 확인하는 진단법을 지난달 국제학술지 뇌에 발표했다. 이 내용은 알츠하이머병과 관련한 타우단백질과 선택적으로 혈합하는 항체를 추출한 뒤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발견하는 바이오마커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가 활발하다. 광주과학기술원 김재관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후각을 자극할 때 전전두엽에서 나타나는 근적외선 신호를 측정해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인체 조직을 잘 투과하는 근적외선을 머리에 쬐어 뇌 혈류량과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기능적 근적외선 분광법을 활용했다.
즉 알츠하이머병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냄새를 맡게 한 다음 FNIRS로 전전두엽에서 나타나는 신호를 측정하면 다른 사람보다 후각 기능이 떨어졌는지 정량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후각 기능 평가를 통해 인지기능 정상과 인지기능 장애, 알츠하이머병을 구분하는 방식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3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연구 및 치료에 게재됐다.
728x90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병관리청] 30일부터 실내 마스크 의무에서 권고, 대중 교통 감염취약시설 병원 약국 등 예외. (1) | 2023.01.20 |
---|---|
[보건 복지부] 안전한 명절을 위하여, 설 연휴 1월 21일 ~ 1월 24일 기간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0) | 2023.01.19 |
[박주연의 뷰티 & 아로마 레시피] 출산 전후 여성들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기미, 집에서도 할 수 있는 기미 예방법. (1) | 2023.01.18 |
[운동의 기적] 탱탱했던 근육, "당신이 잠든 사이" 근육은 녹아 없어진다. (0) | 2023.01.16 |
[백세인생] 당신의 몸속에 만성 염증 있다는 징후. (2) | 2023.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