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설탕 대체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이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될 것이라고 알려지면서 소비자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7월 14일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이다.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200배 더 단맛이 나는 인공감미료로 다이어트콜라, 제로콜라, 막걸리 같은 음료와 주류뿐 아니라 포카칩, 고래밥, 콘칩 같은 과자와 젤리, 시립 형태의 어린이 해열제 등 전 세계적으로 6000개 넘는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 결과 지난달 수입된 중국산 김치 1737개 중 84.5%인 1468개에도 아스파탐이 주 감미료로 사용된 것으로 드러나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다.
국제암연구소는 발암물질을 4개 그룹으로 분류하는데, 아스파탐은 발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그룹 2B군에 속할 예정이다. 그룹 1은 발암 확인 물질, 그룹 2A는 발암 추정 물질, 그룹 2B는 발암 가능 물질, 그룹 3은 발암서 여부 미분류 물질이다.
단 그룹에 따라 발암 위험성이 더 높거나 낮은 것은 아니다. 그룹 1은 발암성 여부가 다양한 인체, 동물 실험으로 증명된 물질. 그룹 2A는 발암 여부 사례가 적은 물질, 그룹 2B는 발암 가능 물질이지만 인체에 대한 자료나 동물실험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해당한다.
아스파탐이 들어갈 예정인 그룹 2B군에는 김치나 피클 같은 절임채소, 알로에 베라, 휴대전화 전자파 등이 속해 있다. 1990년부터 2016년까지는 커피도 그룹 2B군에 포함돼 있었지만 현재는 제외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아스파탐에 대한 불안이 커지자 식약처는 7월 3일 정례브리핑에서 외국과 비교해 한국인의 아스파탐 섭취량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며 7월 14일 세계보건기구의 공식 결과가 나오면 세부 사항을 확인해 관련 규정을 확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가 설정한 아스파탐 1일 섭취 허용량은 50mg/kg이하이다. 허용량은 사람이 평생 매일 먹어도 유해하지 않은 체중 kg당 하루 섭취량으로, 체중 60kg인 사람의 아스파탐 허용량은 3000mg 즉 3g인 것이다.
따라서 체중 60kg인 사람은 아스파탐 72.7mg이 함유된 막걸리 750ml는 하루 33병을 마셔야 허용량을 초과하게 된다. 이런 이유로 식약처가 내놓은 2019년 식품첨가물 기준, 규제 재평가 최종보고서에 다르면 한국인의 아스파탐 섭취량은 허용량의 0.12% 정도이다.
전문가들도 한국인의 아스파탐 섭취량 정도는 건강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다만 아스파탐이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되면 식약처는 국민 섭취량 등을 조사하는 위해성 평가를 진행해 안전관리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아스파탐이란
아스파탐은 흰색, 무취의 인공감미료로 칼로리가 거의 없고 사카린 같은 쓴 뒷맛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1965년 미국 화학자 제임스 슐리 터가 위궤양 치료약을 개발하다가 아스파탐 구조식의 물질을 손에 묻힌 상태로 침을 발라가며 종이를 넘겼는데, 그때 아주 강한 단맛이 나는 것을 확인하고 우연히 발견했다.
이후 미국에서는 1974년, 일본에서는 1983년, 한국에서는 1985년 식품첨가물로 지정됐으며, 현재 200여 개국에서 식품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다.
아스파탐은 체내에서 소화 과정을 거쳐 페닐아라닌, 아스파트산, 소량의 메탄올로 분해돼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빠르게 대사 돼 배출된다. 또 포름알데히드 같은 발암물질로 바뀔 수 있는 메탄올 또한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양보다 크게 적은 수준이다.
다만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소화 과정에서 페닐알라닌이 발생하는 아스파탐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며, 페닐케톤뇨증은 필수 아미노산인 페닐알리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하거나 결핍돼 혈중페닐알라닌 농도가 높아지는 선천성 대사질환이라고 말했다.
아스파탐의 유해성 우려
아스파탐의 유해성 우려는 출시 당시부터 꾸준히 제기됐다. 1990년 미국 국립암연구소는 아스파탐이 출시됐을 무렵부터 암 발생이 증가했지만, 이는 서로 무관하다고 밝혔고, 2007년 유럽식품안전청은 아스파탐의 안전성을 제조사하기도 했다. 이후 2006년 미국 국립암연구소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스파탐과 림프종, 백혈병, 뇌종양은 관련성이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의학 학술지 플로스 메디슨에 인공감미료가 발암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실리면서 논란이 커졌다. 연구팀이 성인 10만 2865명을 대상으로 아스파탐을 포함한 인공감미료 소비량과 암 검진 정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인공감미료 섭취가 발암 위험을 13%나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암연구소는 지금까지 발표된 13000여 건의 연구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전했다.
또한 식음료업계는 소비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빠르게 아스파탐 손절에 나서고 있으며, CU는 아스파탐을 넣지 않은 막걸리 출시를 알렸고, 전통주업체 배상면주가는 7월 한 달간 자사 쇼핑몰 홈술닷컴에서 無아스파탐 막걸리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롯데칠성음료는 펩시 제로에 아스파탐의 대체 원료를 사용할지 여부를 두고 펩시코와 논의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오리온과 크라운제과는 과자류에 소량 넣어왔던 아스파탐을 더는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728x90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백세] "허리둘레 1cm에 숨은 질병" 허리둘레 클수록 "대장 종양" 발생 위험 높다. (0) | 2023.07.15 |
---|---|
[식품의약품안전처] 여름철 곰팡이 독소 "아플리톡신" 소량 먹어도 간-신장 손상. (0) | 2023.07.11 |
[건강백세] 여름철 더 위험한 "당뇨병" 당뇨 환자를 위협하는 요소 및 주의할 점. (0) | 2023.07.09 |
[세시풍속] 올 초복 음식 보양식은 "삼계탕과 오리탕 및 미꾸라지탕" 그리고 주의할 점. (0) | 2023.07.08 |
[서울 백병원] 8월 말 진료 종류 "결국 82년 역사 속으로" (1) | 2023.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