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최정30 [제10회 황룡사배] 세계여자바둑대회 20일부터 "8인 풀리그" 우승 경쟁, "최정VS허서현" 1R 격돌 20일부터 중국 장쑤성 장옌시에서 개최되는 제10회 황룡사배 세계바둑대회가 8인 풀리그로 패권을 다툰다.세계바둑대회에서 좀처럼 볼 수 없었던, 이기든 지든 중도 탈락 없이 즉 우승권에서 밀려나더라도 자신의 판수를 대 채워야 하는 7판 승부 방식이다.또한 단체전이 아닌 개인전이지만 바둑대회는 개인전도 국가대항전으로 바라보는 팬들의 시각이 짙으며, 매판 승패에 따라 대국료를 차등 지급하는데 후반에 이르러서는 엉뚱한 판이 우승자를 가르는 중요한 열쇠로 작용할 수도 있다. 리그전의 단점이다.그동안 여자바둑 삼국지라는 별칭으로 한중일 단체전으로 시행해 왔던 황룡사배는 코로나19 사태로 중단됐다가 5년 만에 재개하는 이번 대회를 개인전으로 변경했다. 한국은 최정과 허서현 2명, 중국 저우훙위, 루민취안, 리허, 리.. 2024. 6. 20. [제7회 국제바둑춘향선발대회] 프로춘향부 "스미레" 결승에서 오유진 꺽고 "국제바둑춘향" 올랐다 프로에게 첫 개방한 제7회 국제바둑춘향선발대회 프로춘향부 결승에서 스미레 3단이 오유진 9단을 꺾고 국제바둑춘향에 올랐다.오유진 9단과 스미레 3단은 공식대회에서 만난 적이 없었고, 비공식 이벤트 대국에서는 2019년에 오유진 9단이, 2023년에 스미레 3단이 1승씩 챙긴 바 있다.제한시간 20분 초읽기 30초 3회로 진행한 결승전은 여러 차례 접전 양상을 띠었다. 먼저 득점한 쪽은 오유진 9단이었고, 스미레 3단은 상대 악수를 찔러 공격으로 기세를 탔다.긴장감을 불어넣은 승부는 1시간 40분, 232수 만에 종국, 후반에 주도권을 놓치지 않은 여자랭킹 10위 스미레 3단이 초반 흐름을 지키지 못한 4위 오유진 9간을 상대로 불계승을 거뒀다.결승전이 열린 날은 2019년 일본기원에서 입단한 스미레 3단.. 2024. 6. 10. [제10회 황룡사배] 세계여자바둑대회 6월 20일~27일 우승 경쟁, 한국대표 "최정-허서현" 출전 제10회 황룡사배 세계여자바둑대회가 5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6월 20일부터 27일까지 중국 장쑤성 장옌시에서 개최된다.중국이 주최하는 여자기사들의 세계대회인 황룡사배는 2011년 출범했다. 한국 2명, 일본 2명, 중국 4명, 총 8명의 여류 강자들이 모여서 풀리그로 우승 경쟁을 벌인다.세계바둑대회 개인전에서 풀리그 방식은 극히 이례적이다. 제한시간은 2시간, 초읽기는 1분 5회다.한국은 최정 9단과 허서현 4단이 출전한다. 최정 9단은 세계 타이틀 보유자이면서 여자랭킹 1위이고, 여자랭킹 13위인 허서현 4단은 여자국가대표 상비군에 배정된 출전권을 차지했다. 2위 김은지 9단은 국가대표 상비군에 속해 있으며, 3위 김채영 8단과 4위 오유진 9단 , 그리고 조승아 6단은 상비군 소속이 아니다.중국은.. 2024. 6. 9. [바둑여제] 2024 중국여자 을조리그 7라운드, "최정" 6연속 퍼팩트 달성 대한민국 바둑여제 최정 9단(27)이 중국 을조리그에서 또 한 번 퍼펙트 시즌을 이뤘다.7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에서 열린 2024 중국여자 을조리그 최종 7라운드에서 최정 9단은 양쯔쉔 5단을 꺾고 7전 전승으로 이번 시즌을 마쳤다.양쯔쉔 5단은 두 차례 우승한 바 있는 대만의 여류 강자다. 이번 대회는 대만팀이 아닌 푸젠팀 소속으로 참가해 최정 9단을 만나기 전까지 5승 1패를 거둬 왔다. 조승아 6단을 꺾기도 했으며, 1패는 김채영 8단에게 대역전패를 당한 것이었다.1라운드부터 펑 성징 웨 초단, 류 쯔 멍 초단, 김채영 8단, 구이 쓰 윈 2단, 조승아 6단, 웨이신 퉁 3단, 양쯔쉔 5단을 차례로 꺾은 최정 9단은 여자 을조리그 46연승을 기록했다. 이번 시즌에 상대한 중국 여자기사들은 신예들이다.. 2024. 6. 8.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