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녹내장은 고령에 발생하는 질환으로 최근 젊은 층에서도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전했다.
2일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에 등록된 안과 질환 통계(2018~2021년)에 따르면 전국에서 녹내장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의 약 10%가 20대, 30대로 집계됐다.
녹내장은 안압이 높아지면서 시신경이 눌리거나 혈액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시신경 질환으로 심한 경우 실명으로 이어진다. 주로 40대 이후 많이 발생하지만 최근 20대~30대 젊은 층에서도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20~30대의 경우 고도근시가 원인이 돼 녹내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진다. 고도근시 환자는 안구의 앞뒤 길이가 정상 눈보다 상대적으로 길어 눈을 지지하는 구조물들의 두께가 얇고, 힘도 약해서 시신경이 쉽게 손상될 수 있다.
또 고도근시가 있는 눈과 정시인 눈의 시신경유두 모양을 비교했을 때 근시가 없는 눈은 동그란 도넛 모양을 하지만 고도근시가 있는 눈은 타원형으로 찌그러져 있고, 방향도 뒤틀러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시신경이 손상돼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영 유아기부터 눈의 방수 배출 기능 이상으로 안압 조절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와 시력교정술과 포도막염 등의 안질환으로 스테로이드 약물을 오래 사용하는 경우 등 외상으로 눈을 다치는 경우 젊은 나이에도 녹내장이 생길 수 있다.
녹내장은 초기에 발견해 꾸준히 잘 치료받는다면 실명까지 가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젊더라도 주기적으로 안압, 안저 검사 등 안과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녹내장학회가 추천하는 연령별 검진 주기는 40세 미만 2~4년, 40세 이상~60세 미만 2~3년, 60세 이상 1~2이다.
김안과병원 녹내장 센터장인 정종진 안과전문의는 젊을수록 눈 관리에 소홀하기 쉽지만, 일반 건강검진에는 안저검사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증상이 꽤 진행된 후 알게 되는 경우가 많다면서, 녹내장은 발견 시기와 대치 방법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다른 만큼 조기에 발견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728x90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와나] 치료제 백신 없는,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살인 진드기" 환자 발생. (0) | 2023.05.03 |
---|---|
[너와나] 식품의약품안전처, "가짜 능이버섯" 판매업자 적발. (0) | 2023.05.03 |
[아이가 행복] 육아정책연구소 "부모 메뉴얼" 감염병 설명하기. (0) | 2023.05.01 |
[영국의학저널] 2형 당뇨병 환자 "가당 음료" 마시면 생기는 위험은? (0) | 2023.05.01 |
[중앙방역대책본부] 전파력 최강 코로나 XBB.1.16 새 변이, 이미 국내 유입. (0) | 2023.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