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국방

[한중정상회담] 윤석열 대통령 "러-북 문제에 건설적 역할을" 시진핑 주석 "긴장 원치 않아, 평화적 해결 희망"

by 구름과 비 2024. 11. 16.
728x90
반응형

APEC 정상회의 참석차 페루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15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에게 북한의 군사도발 문제 러북 군사협력 문제 해결에 있어서 건설적 역할을 당부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시진핑 주석은 한반도 긴장을 원치 않는다고 밝혔다. 또 양정상은 상호 협력과 관계를 심화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도 의견을  같이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오전 리마 시내의 한 호텔에서 시진핑 주석과 한중 정상회담을 열었다. 윤석열 대통령이 시진핑 주석과 한중 정상회담을 가진 것은  지난 2022년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계기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윤석열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중국은 안보, 경제, 문화, 인적 교류 등 제반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고 있는 중요한 국가라며, 양국이 상호 존중, 호혜, 공동 이익에 기반해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내실 있게 발전시켜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안보와 경제 질서가 격변하는 가운데 한중 양국이 여러 도전에 직면해서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를 기대한다며 특히 북한의 연이은 도발과 우크라이나 전쟁, 러북 군사 협력에 대응해 한 중 양국이 역내 안정과 평화를 도모하는데 협력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한 지난 30여 년 간 양국 관계의 중심축이 되어 온 경제 분야 협력을 더욱 강화해 양국의 민생을 함께 증진해 나가기로 희망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한반도를 포함한 역내 평화와 번영은 한국과 중국 공동의 이익인 만큼 오늘 회담을 통해 이를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깊은 논의가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중정상회담

시진핑 주석은 모두 발언에서 지난 2년 동안 국제 및 지역 정세가 많이 변했고, 중한 관계가 전반적으로 발전 모멘텀을 유지했다며, 정세가 어떻게 변하든 중한 양국은 수교의 초심을 고수하고, 선린우호의 방향을 지키며, 호혜상생의 목표를 견지함으로써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가 서로 통하며 경제가 서로 융합된 장점을 잘 발휘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교류협력을 심화하고 중한 전략적 협력동반관계에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추진함으로써 양국 국민에게 복지를 가져다주고 지역의 평화안정과 발전, 번영을 위해 더 많은 기여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석열 대통령과 이를 위해 인도 역할을 함께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정상회담은 약 29분간 진행됐다. 의제에 제한을 두지 않고 한반도를 포함한 역내 정세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북한 핵무력 고도화, 미국 정권 교체 등이 폭넓게 다뤄졌다. 양국 정상의 상호 방문에 관한 의제도 회담 테이블에 올랐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 차장은 순방 현지 프레스센터 내 중앙기자실에서 브리핑을 열어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정상회담에서 나눈 주요 의제를 전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세계가 글로벌 복합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한중의 긴밀한 협력이 요구된다며 힘을 모아 안보, 경제, 사회문화 등 제반 분야 협력을 굳건히 발전시켜 나가자고 했다. 이어 시진핑 주석은 한중을 중시하는 중국의 입장은 한결같다며 관계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희망한다고 말했다.

김태효 차장은 양 정상은 상호 존중, 선린 우호, 공동 이익에 기반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심화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또한 국가 간 지역 간 지정학적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안보 측면에서 양국이 힘을 합쳐 갈등을 완화하고 평화적 해결을 도모하면서 역내 평화와 번영에 함께 기여하는데 뜻을 모아지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은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북한의 지속적인 ICBM 등 군사도발, 러시아와의 군사협력은 한반도와 역내에 불인정을 야기하는 행동이라며, 중국이 건설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시진핑 주석은 중국도 역내 정세 완화를 희망하며, 한반도 긴장을 원하지 않는다라며, 당사자가 정치적 해결을 모색하기 위해 대화와 협상을 통해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해 나가기로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중 경제 협력에 있어서는 윤석열 대통령은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인 환경 속에서 기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살펴봐달라고 당부했다. 양 정상은 한중 FTA 서비스 협상에도 속도를 내기로 의견을 같이했다.

아울러 윤석열 대통령은 중국의 2026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의장국 수임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시진핑 주석은 자율시장, 개방된 시장을 강조하며 한중 관계에서 불편을 끼치지 않겠다는 생각을 많이 드러냈고, 분위기도 내내 우호적이었다며, 한중 경제 협력에 있어서는 웬만하면 윈윈이 되도록 하는 방향을 찾자는 분위기였다고 전했다.

미국의 정권 교체와 관련해서는 국제사회의 전환점, 변화 시점 등의 인식을 공유했다고 한다. 한미 관계가 한중 관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접점을 찾아가자는 데도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상호 방문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시진핑 주석이 윤석열 대통령에 방중을 먼저 초청했고, 우리 대통령도 시진핑 주석의 방한을 초청했다며, 특히 내년 가을쯤에 우리가 APEC 경주 정상회의를 주최하기 때문에 시진핑 주석에 자연스럽게 방한해 달라고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두 정상 모두 초청에 감사하다고 답했다고 덧붙였다. 시진핑 주석의 방한은 지난 2014년 7월이 마지막이었다.

728x90
반응형

댓글